투자유치대상
동북아시아 교육의 허브
동북아 최고의 교육 허브 조성을 목표로
국제학교, 외국교육기관(대학교) 설립 의향자를
찾고 있습니다.
투자유치 홍보 동영상
잠재적 투자자의 희망 유형
국제학교
- 유치목표 : 순수 민간 자본 국제학교 3개교- 유치대상 :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
제233조의 규정에 의한 국제학교
- 담 당 자 : JDC 교육도시처 064-797-5638, 5654
외국교육기관(대학교)
- 유치대상 :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특별법 제219조의 규정에 의한 외국교육기관(대학교)
투자유치(공급)대상 부지

용도 | 블록번호 | 면적(㎡) | 건폐율 | 용적률 | 높이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국제학교 | H-13 | 43,028.0 | 60% 이하 | 160% 이하 | 15m(4층) | 학교시설 |
H-14 | 41,087.6 | |||||
H-15 | 61,382.8 | |||||
H-16 | 54,462.4 | |||||
H-17 | 113,830.5 | |||||
기타교육시설용지 | I-1 | 12,818.4 | 60% 이하 | 160% 이하 | -(4층) 이하 | |
I-8 | 12,818.4 | |||||
문화시설용지 | K-1 | 13,598.4 | ||||
공공청사용지 | J-6 | 7,117.7 |
투자 장점
-
풍부한 학생수요
① 풍부한 학생수요- 학부모 의향·학생 학업능력 등 고려한 국제학교 수요 1.6만 가구
-
국내·외 학력인정
② 국내·외 학력인정- 국내 및 해외 학력 동시 인증으로
국내·외 대학 진학 및 선택의 폭 다양화 -
정주형 도시기반 조성
③ 정주형 도시기반 조성- 사계절 뚜렷한 제주도에서 산·바다·숲 다양한 레저생활 가능
- 주거·상업·곶자왈 공원 등 친환경 주거환경 제공
- 영어 행정서비스 체계 구축
-
학교 설립자격 완화
④ 학교 설립자격 완화- 국내·외 영리·비영리 법인 설립 가능
-
학교운영 자율성 보장
⑤ 학교운영 자율성 보장- 수업·학년제·입학절차 등
학교장 권한 부여
글로벌 복합의료관광단지에서
의료기관 및 헬스케어 관련 사업을
운영하실 분을 모십니다.
사업대상부지

구분 | 추진내용 | 면적(㎡) | 건폐율(%) | 용적률(%) | 높이 | 건축물 용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의료연구시설 | 헬스케어센터 | 15,737 | 40 | 200 | 15m(5층)이하 | 의료시설, 근린생활시설 |
전문병원 | 63,354 | 40 | 160 | 12m(4층)이하 | ||
메디컬스트리트1 | 6,236 | 40 | 120 | 12m(3층)이하 | ||
메디컬스트리트2 | 6,184 | |||||
메디컬스트리트3 | 5,421 | |||||
메디컬스트리트4 | 7,779 | |||||
메디컬스트리트5 | 6,734 | |||||
메디컬스트리트6 | 8,637 | |||||
숙박시설 | 리타이어먼트커뮤니티 | 115,407 | 20 | 60 | 12m(3층)이하 | 숙박시설, 근린생활시설 |
롱텀케어타운 | 87,426 | 20 | 60 | 12m(3층)이하 | ||
운동오락시설 | 재활훈련센터 | 31,897 | 20 | 60 | 12m(3층)이하 | 운동시설,의료시설, 근린생활시설 |
합계 | 354,812 | - | - | - | - |
시설 별 위치 및 콘셉트


전문병원
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의료시설(종합병원, 전문병원, 요양병원, 외국의료기관 등)

헬스케어센터
‘의료+관광’ 콘셉트의 복합시설로서 건강, 뷰티, 한방 시설 등 도입
메디컬스트리트 1~6
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국내의료기관, 특화 · 전문화된 단위시설 의료서비스 구역
재활훈련센터
스포츠재활, 사고재활 등 다양한 재활 · 치료 프로그램 도입
리타이어먼트커뮤니티
의료 및 운영 인력, 이용객 등을 위한 숙박, 교육·문화·편의시설, 실버타운 등
롱텀케어타운
장기휴양, 요양 고객 및 가족 대상 숙박단지, 주변 의료시설과 연계한 휴양 및 요양 프로그램 운영의료서비스센터
목 적 : 지역 의료서비스 수요 충족 및 단지 관리
위 치 :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솔오름로 61(중앙관리센터 부지) (중략)
시설규모 : 지상 1~3층 / 건축연면적 약 9,000m2
시설계획
구분 | 면적m2 | 건폐율(%) | 용적률(%) | 높이 | 건축물용도 |
---|---|---|---|---|---|
공공편익시설 | 11,743 | 40 | 120 | 12m(3층) 이하 |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|
사업방식 :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(JDC) 직접투자
사업기간 : 2017 ~ 2021년(2021.12월 준공)
투자유치 대상시설 : 병의원, 연구시설, 교육시설 등
조감도(안)

헬스케어타운 브로슈어 다운로드
헬스케어타운 브로슈어 다운로드대한민국의 실리콘 밸리
지식기반 산업단지 조성으로 제주경제의
신산업 성장기반 구축을 목표로 EV관련, IT, BT, 4차산업 혁명 등 분야의 기업 및 연구소를 유치하고 있습니다
유치대상
지식기반 산업단지 조성으로 제주경제의 신산업 성장기반 구축 EV관련, IT, BT, 4차산업 혁명분야 기업 등

제주시 월평동 일원
848천㎡(26만평)
2,741억원
국가산업단지로 JDC가 직접 개발, 관리
IT(정보통신), BT(생명공학), ET(친환경에너지)
CT(문화산업) 및 관련 연구기관 등
투자장점

업사이클링 클러스터
스마트시티 실증단지
드론사업
첨단 농식품 단지
제주의 미래를 이끌어갈 JDC 신규 프로젝트로
기업교류·협력 및 기술기업을 유치하고 있습니다.
- 업사이클링 클러스터 사업목표
· 제주의 폐기물 처리문제를 해결하여 제주 고유의 자연환경 보존
· 제주도 및 민간영역과 경합하지 않으며 JDC만의 새로운 사업경쟁력 확보
사업내용· 제주의 환경가치 증진을 위한 폐기물자원화 선진시설, 문화 공간 등이 집적화 된
사업개요
단지 조성· 위치 : 제주도 일원 약 10만m2
· 기간 : 2017년 ~ 2021년 (계속사업)
· 사업비 : 총 1,098억원
-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사업목표
·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의존도 제로화 목표
·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개발 통해 제주도 가치증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 도모
사업내용· 교통・방범・에너지・환경분야 등 도시생활의 삶과 질을 높이는 ‘제주형 스마트시티’ 조성
사업개요· 위치 : 제주도 일원 30만m2
· 기간 : 2018년 ~ 2021년(이후 2단계로 확장)
· 사업비 : 총 2,537억원
- 드론사업 사업목표
·4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드론기술을 제주의 미래 신사업으로 육성
사업내용·드론과 IT 등 연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산업육성 및 드론산업 거점화 기반 마련
·드론 교육 및 R&D 관련 시설 계획
사업개요· 위치 : 제주도 일원 약 10만㎡
· 기간 : 2018년 ~ 2021년(이후 2단계로 확장)
· 사업비 : 총 400억원(1단계 사업)
- 첨단 농식품 단지 사업목표
· 제주 청정 1차 자원 기반 농식품산업 인프라 구축을 통한 미래 농업 경쟁력 확보
· 제주 농업의 지속성 및 경쟁력 확보를 통해 도민 소득 향상 도모
사업내용·스마트팜 실증시범 단지, 농업인재양성 및 R&BD 센터 설치 계획
·연구와 교육을 통한 농업발전, 관광활성화 기능 등이 포함된 6차(1차+2・3차)산업단지 조성
사업개요· 위치 : 제주도 일원 약 100만㎡
· 기간 : 2017년 ~ 2021년(이후 2단계로 확장)
· 사업비 : 총 1,665억원